서울시, 철도·지하철 노동조합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시행

시내버스 출퇴근 집중배차시간 1시간 연장, 예비·단축차량 174개 노선 투입

조영관 기자 | 기사입력 2024/12/04 [17:02]

서울시, 철도·지하철 노동조합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시행

시내버스 출퇴근 집중배차시간 1시간 연장, 예비·단축차량 174개 노선 투입

조영관 기자 | 입력 : 2024/12/04 [17:02]

▲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 총파업을 이틀 앞둔 4일 서울 중구 서울역 지하철 1호선 승강장에서 이용객들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다.(사진 = 뉴시스)       © 매일건설신문

 

[매일건설신문 조영관 기자] 서울시가 철도노조와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 파업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송수송대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철도공사(코레일) 노조는 5일,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6일 각각 파업을 예고한 상황이다. 이에 서울시는 선제적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상황별 대책 수립을 마쳤다. 

 

서울시 비상수송대책본부는 파업 및 교통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서울교통공사, 철도공사(코레일), 버스업계 및 자치구·경찰 등 유관 기관과 운행 지원, 현장 관리 등을 면밀히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시, 서울교통공사, 코레일, 자치구, 버스조합 등 유관기관은 본부 구성 및 수송대책 시행을 위한 24시간 연락 체계를 유지한다. 파업 기간별로 1단계(D~D+6일, 7일간), 2단계(D+7일 이후)로 구분해 단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출퇴근 등 이동 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대체 교통수단을 투입해 수송력을 제고한다.

 

먼저 5일부터 코레일 파업 개시 예고일을 앞둔 만큼, 우선적으로 시내버스 등 대체 수단을 추가로 투입해 수송력 확대에 나선다. 시내버스는 343개 일반노선의 출·퇴근 집중배차시간대를 평소보다 1시간씩 연장하며, 출퇴근 시간 동안 약 6448회 증회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더해 출퇴근시간대 이동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다람쥐버스 및 동행버스 운행 시간도 1시간 추가 연장 운행해 대체교통편 마련에 집중한다. 1~8호선 지하철의 경우 6일 노동조합 파업에 들어가도 당일부터 운행 환경을 평상시와 가깝게 유지할 수 있도록 출근 시간대에는 100% 정상 운행된다. 퇴근 시간대는 2호선, 5~8호선은 100% 정상운행돼 총 운행률 86%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9호선은 평시와 동일하게 정상 운행된다. 

 

택시도 지난 2022년 11월 국토교통부 훈령 개정 개정(승차난 발생지역 부제 미적용)에 따라 현재 부제 없이 운영되고 있는 만큼, 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에 요청해 많은 택시들이 거리에 나올 수 있도록 운행을 독려하기로 했다. 또한 코레일과 교통공사 노조 파업이 동시에 진행될 경우, 수송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추가 차량 투입도 추진한다. 동시 파업은 교통공사 파업 시작일인 6일로 예상되며, 당일 출근길부터 지하철, 시내버스 추가 차량을 신속하게 운행한다.

 

시내버스는 현재 미운행 중인 시내버스 예비·단축차량을 174개 노선에 모두 투입해 평소보다 1615회 증회 운행할 계획이다. 출퇴근시간대 집중배차에 이어 추가 증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하철은 2·3·4호선의 비상 대기 열차 5대를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코레일 노조 파업이 5일 시작돼 6일까지 이어질 경우를 대비해 동시 파업 상황에서도 출퇴근 시간대 열차 운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신속 대응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철도노조(코레일)와 서울교통공사노조가 동시에 파업하더라도 출근시간대 운행률은 96.1%, 퇴근시간대 운행률은 83.9%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가 비상대기열차를 투입할 경우 퇴근시간대 운행률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지하철이 안전관리를 위해 파업 미참여자·협력업체 직원 등 평시 대비 80% 수준인 약 1만3000여 명의 인력을 확보해 지하철 수송기능을 유지하고, 시 직원 124명을 역사지원 근무요원으로 배치하는 등 현장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원만한 노사 합의와 조속한 대중교통 정상 운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면서도, 파업 연장 등에 대비해 수송 대책 유지 및 교통 운영상황 모니터링 등 다방면의 노력도 이어나간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파업 사전부터 가능한 모든 수송력을 동원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시민을 우선적으로 생각해 노사 간 합의가 조속하게 이뤄지길 바라며, 운행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영관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