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공간정보 전문용어, 우리말로 쉽게 바뀐다

국토부, 도해지적→도면지적, 수치지적→좌표지적 등 38개 용어 선정

조영관 기자 | 기사입력 2024/10/03 [15:25]

지적·공간정보 전문용어, 우리말로 쉽게 바뀐다

국토부, 도해지적→도면지적, 수치지적→좌표지적 등 38개 용어 선정

조영관 기자 | 입력 : 2024/10/03 [15:25]

▲ 도해지적 관련 예시(도해지적 측량준비도 작성) 사진 = 국토부    © 매일건설신문

 

[매일건설신문 조영관 기자] 지적·공간정보 분야 전문용어가 우리말로 쉽게 바뀐다.

 

국토교통부와 LX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는 국민이 어려워하는 지적·공간정보 분야 전문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하고 행정규칙으로 고시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그동안 지적측량·공간정보 분야에서 쓰는 어려운 한자용어, 외국어 용어, 일본식 한자 표현 등에 대해 쉽고 바른 우리말로 순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국토부와 LX공사는 지적측량·공간정보 분야에 사용되는 전문용어를 조사해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국민이 자주 접하는 용어를 발굴했다. 지난 9월 국토부 관계부서와 지적·공간정보 전문가, 한글문화연대 등으로 구성된 지적·공간정보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를 개최하고, 심의를 거쳐 표준화 고시 대상 용어를 최종 선정했다.

 

선정용어는 ‘도해지적 → 도면지적’, ‘수치지적 → 좌표지적’, ‘기지점 → 아는점’, ‘정사영상 → 수직보정영상’ 등 38개다.

 

국토부와 LX공사는 4일부터 10일까지 열리는 ‘2024 한글문화주간’ 행사에 참여해 선정용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등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선정용어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심의를 거쳐 행정규칙으로 고시할 계획이다. 추후 고시된 표준화용어는 향후 법령의 제·개정, 교과용 도서 제작, 공문서 및 국가기관 시험문제 출제, 지적측량 현장에서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박건수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이번 전문용어 순화작업을 통해 국민들이 보다 쉽게 지적·공간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국민 눈높이에 맞는 지적·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용어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영관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