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 인프라 개발 분야 워크숍… “건축물과 버티포트 융합이 필수”‘UAM 팀코리아 인프라 분과 X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워크숍
[매일건설신문 김동우 기자] 민‧관 협의체가 UAM(도심항공교통) 버티포트(수직 이착륙 비행장) 설계기준을 만든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2일 스페이스 쉐어 서울역에서 민간 전문가와 함께 UAM 인프라 개발 분야에 대해 논의하는 ‘UAM 팀코리아 인프라 분과 X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UAM의 새로운 거점을 만들어 간다’라는 주제로 버티포트 관련 법‧제도화 추진 현황, 버티포트 설계기준(안), 스마트⁺빌딩 로드맵 등 3개 안건 발표와 함께 신산업에 도전하는 국내 기업의 상호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은 UAM 및 건축 분야를 대표하는 두 협의체가 힘을 합쳐 UAM의 핵심 인프라로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버티포트 개발과 활용을 구체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건축물 옥상을 활용한 버티포트 구축을 위해 건축 분야에서 추진 중인 제도개선, R&D, 선도 사업 등 스마트⁺빌딩 정책 세부 추진 과제를 UAM 팀코리아 참여기관에도 공유해 협업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전형필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UAM의 상용화를 위해서 건축물과 버티포트의 융합이 필수이므로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와 UAM 팀코리아 협업으로 설계기준 확정 및 버티포트 개발 확산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UAM 팀 코리아’는 K-UAM 로드맵의 공동 이행, 신규 과제의 발굴 및 주요 시장‧기술 동향 등을 논의하기 위한 민‧관‧학‧연 정책 공동체다.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는 4차 산업혁명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의체다.
/김동우 기자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