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水특집④] 기후변화 대안은 바로 ‘지하수’

[기고] 이찬진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물순환처장

김동훈 기자 | 기사입력 2020/12/18 [09:21]

[지하水특집④] 기후변화 대안은 바로 ‘지하수’

[기고] 이찬진 한국수자원공사 지하수물순환처장

김동훈 기자 | 입력 : 2020/12/18 [09:21]

▲ 이찬진 지하수물순환처장

지하수는 6·70년대 농촌 근대화 과정에서 식량 자급기반 구축의 토대가, 산업화 시기에는 용수로 역할을 넓혀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됐다. 

 

수돗물이 일반화된 오늘날에도 그 쓰임새는 여전하다. 가뭄⋅재해 등 위기 때마다 유용한 전략자원으로서 국토의 생명줄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청정 지하수는 먹는 샘물로 국민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이렇게 이용되는 지하수가 연간 29억톤에 달한다. 우리나라 수자원 전체량의 8%에 달하는 엄청난 양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지하수는 논에 물을 대기 위한 물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실생활과 밀접한 수돗물의 주요 수원이 댐이나 하천수이고, 지하수는 2.3%에 불과하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너무 저평가를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는 어떨까. 머지않아 전 세계적으로 지하수에 대한 가치 평가가 제대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바로 ‘기후변화’ 때문이다. 우리가 기후변화에 특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기후변화가 심각한 물 위기로 이어진다는 것에 있다.

 

우리나라는 강수량의 계절별, 지역별 편차가 크며 예전과 다른 패턴의 이상기후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한 대규모 홍수와 가뭄 등 물 위기가 문제 되고 있다. 

 

물관리 측면에서만 보면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안은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그릇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댐 건설과 같은 대규모 개발은 사회적 합의가 어려워 실행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현시점에서 고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은 무엇일까. 

 

결국 지하수다. 기존 댐과 저수지의 통합관리를 통해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지표수와 연계해 안정적으로 수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지하수 정책의 변화에서도 엿볼 수 있다. 지하수 관리와 관련 국가 최상위 계획인 ‘국가지하수관리기본계획’을 살펴보면 1990년대 가장 중요한 관리목표는 ‘보전과 관리’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로는 ‘지속가능한 활용’으로 목표가 변화됐다. 이제는 체계적인 관리를 기반으로 한 공적 활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 정책목표 변화에 발맞춰 수자원공사에서도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최근 물 부족에 시달린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에 물그릇을 확보하는 ‘친환경 지하수 저류지’를 설치, 용수공급을 앞두고 있다. 가뭄 등 비상시에 대비한 상시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나눔지하수사업’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아울러 댐이나 하천수 등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내륙 물 부족 지역을 대상으로 상수원으로 활용 가능한 지하수 저류지나 대규모 관정 개발 등 기초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물론 지하수 관리는 이와 별개로 계속해서 강화돼야 한다. 관리되지 않은 확대는 향후 오염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관리강화를 위해 국가지하수정보센터는 오염 우려 지하수시설 조사사업과 지하수 이용량 모니터링 확대 및 자동화 사업을 현재 추진 중에 있다. 국가지하수측정망을 통해 지하수 수위·수질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으며, QR코드를 활용한 스마트 지하수 시설관리 시스템 등 ICT 접목한 물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시경에 상토주무(桑土綢繆)라는 말이 있다. ‘폭풍우가 닥치기 전 새가 둥지 입구를 뽕나무 껍질로 막아 대비한다’는 뜻이다. 많은 기후변화 전문가들은 인류가 적극적인 대처를 한다 하더라도 2100년이 되면 지구 온도가 지금보다 3도 이상 오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때다.

 

이찬진 수자원공사 지하수물순환처장

 

ⓒ 매일건설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칼럼은 외부필진에 의해 작성된 칼럼으로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