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측에서 예고한 대로 소위 준법투쟁과 안전운행 캠페인 등 전면 쟁의행위 돌입 시 운행지연, 배차간격 증가 등 시내버스 운영에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여, 출퇴근시 버스를 상시 이용하는 시민의 큰 불편이 예상된다.
이에 서울시는 “원만한 노사간 합의와 조속한 대중교통 정상운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면서, 흔들림 없는 시내버스 운영을 위해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을 완비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버스 운행 간격, 운행 속도, 정류소 정차 시간 등에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서울경찰청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즉각적인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 시는 출퇴근 시간대 주요 교통혼잡 지역 대상 교통경찰 배치와 버스 중앙차로 구간 내 운행 지연 발생 시 후속 버스의 추월 조치 허용 등을 경찰에 요청해, 원활한 도로교통 소통을 위해 긴밀히 협조할 예정이다.
올해는 임금 인상 정도에 대한 노사간 입장 차가 커 쟁의행위가 안전운행이 아닌 전면 파업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서울시측 설명이다. 이에 시는 파업을 대비한 비상수송대책도 미리 수립해, 가용 가능한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시는 비상수송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주), 우이신설도시철도(주), 남서울경전철(주) 등 교통운영기관과도 협력체계를 사전 구축해 종합적인 수송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하철의 경우 출퇴근 혼잡 완화와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익일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도 지원한다. 지하철 출퇴근 등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는 무료셔틀버스가 운영된다.
서울시 여장권 교통실장은 “가급적 전면적인 쟁의행위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다“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류창기 기자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