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철도공단 대전북연결선, ‘중재 실마리’에도… “사업 지연, 혈세 낭비” 지적30일 대한상사중재원 2차 심리 앞둬, 철도공단·현대건설 결과 수용할 듯
[매일건설신문 류창기 기자] 2년 이상 착공이 전면 지연되고 있는 ‘대전북연결선 사업’의 해결 실마리가 나타나고 있다. 발주처인 국가철도공단과 시공사인 현대건설은 오는 30일 대한상사중재원 중재 2차 심리를 앞두고, 추가 설계비용인 약 78억 원 부담에 대한 금액 차이는 있으나, 양측 모두 중재 의견을 수용키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발주청인 철도공단의 업무 소홀로 주요 철도 노선의 안전 확보를 위한 사업이 지체되고 혈세마저 낭비했다는 지적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철도공단과 현대건설에 따르면, 대전북연결선 철도사업은 고속화 미싱링크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으로 결국 국토부 실시설계 재승인을 거쳐 내년 4월경 착공될 전망이다. 이에 사업 기간이 늦어지고, 그만큼 혈세도 낭비했다는 게 철도건설업계 지적이다.
대한상사중재원 대전북연결선 중재 판정부는 철도공단 추천 1명, 2공구 시공사인 현대건설 추천 1명, 중재인 1명 등 총 3명으로 구성됐고, 지난 5월 말 1차 심리 이후 오는 12월 중재가 완료될 예정이다.
철도공단은 앞서 2020년 7월부터 대전 북연결선 사업 실시설계 적격자로 현대건설을 선정했다. 이후 코레일이 대전 조차장부터 나오는 기존 4선 선로 구간을 3선으로 줄이고, 공사를 시작하는 데 이의를 제기했다. 코레일은 당시 일반 철도 운영 중 지연 등을 이유로 설계 재검토를 요청한 것. 이에, 국토부가 작년 5월 코레일의 입장에 따라 추가 기술조사 등을 공단에 지시, 사업이 보류됐다. 결국 철도공단 주관으로 기술자문위원회, 기관 정책협의회가 개최됐고, 코레일측의 입장을 반영, 대전 조차장 인근을 우회토록 4선 선로 유지가 결정됐다.
이 같은 설계 변경과 사업 지연의 배경에는 발주청인 국가철도공단이 미리 공식 문서 등으로 철도 운영사인 코레일과 사전 협의를 진행하지 않았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철도건설업계 관계자는 “사업이 2년 이상 지연된 것은 역사상 초유의 일”이라며 “경부고속철 미싱링크 해소 사업이 지연된 것은 유감”이라고 전했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추가 설계비용에 대한 금액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중재 결과를 존중해 내부 법무 검토를 거쳐 조속히 사업을 시작하겠다”며 “사업을 마무리하고 싶은 입장은 양측 모두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대전 북연결선 개량은 대전역 진입 이전 6km 내외(서울 방향 145~151km) 구간으로 대전조차장을 거치지 않고, 고속철도 주행시 안전사고를 대비, 지하 직결화 사업이다. 국책사업으로 1공구 남광토건, 2공구 현대건설 컨소시엄으로 공사비는 1공구 1,100억 원, 2공구 2,175억 원 규모다. 해당 구간 개량시 경부 고속선 2선과 일반 철도 2선이 들어가는 대전 조차장부터 대전역까지 개량돼 선로 속도를 유지하게 된다. 2020년 입찰공고 당시 사업기간은 49개월이다.
/류창기 기자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