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건설신문 김동우 기자] 서울교통공사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시니어 승강기 안전단’을 확대 운영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시니어 승강기 안전단이 확대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안전단은 노인, 장애인을 비롯한 이동약자의 안전한 승강기 탑승을 돕고 이용자 안전계도, 역 이용 안내 및 응급상황 발생 시 초동 조치를 맡는다. 주요 혼잡 시간대에는 승강기 이용 승객 질서유지에 나선다.
서울교통공사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안전한 지하철 환경을 조성하고 양질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 노인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자 안전단의 규모를 지속해서 확대해 왔다. 2022년 8개 역사 65명, 작년은 20개 역 282명 규모로 늘어났고, 올해는 작년 대비 74% 늘어난 491명의 인원이 지하철 승강기 안전을 꼼꼼하게 살핀다.
올해 선발된 491명의 안전단 인원들은 주요 환승역을 포함한 33개 역에 배치돼 승강기 이용 시민들의 안전을 살필 예정이다. 운영 기간은 올해 2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10개월이다.
서울교통공사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각 역사 소재지 관할 복지관과 협업해 인력 교육, 안전용품 및 휴게공간 제공 등 각 역사에 배치된 안전단 인원들이 원활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김성렬 서울교통공사 기술본부장은 “시니어 승강기안전단 사업은 승강기 중대시민재해를 예방하는 동시에 양질의 노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사업이다”라며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긴밀한 협력으로 더 많은 노인 일자리를 발굴해 ESG 경영에 기여하고 안전한 지하철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미애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서울지역본부장은 “서울교통공사와 적극적인 협력으로 더 많은 노인 일자리와 안전한 지하철 이용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라며 “더불어 앞으로도 더욱더 사회 안전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노인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