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발표, ‘내년 건설수주∙건설투자 소폭 감소

허문수 기자 | 기사입력 2023/11/01 [16:41]

건산연 발표, ‘내년 건설수주∙건설투자 소폭 감소

허문수 기자 | 입력 : 2023/11/01 [16:41]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충재 원장이 1일 건설회관에서 개최된‘2024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허문수 기자

 

<건설건설수주 1.5% 감소건설투자 0.3% 감소 전망

<주택전국 매매 2.0% 하락세로 전환전세 2.0% 상승

 

내년 건설수주와 건설투자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2024
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187.3조원을 기록하고, 건설투자도 전년 대비 0.3% 줄어 260.7조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부동산시장에 대해서는 전국 매매는 2.0% 하락하는 반면 전세는 2.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2022229.7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건설수주는 2023년에 전년 대비 17.3% 감소한 190.1조원을 기록한 이후, 2024년에도 1.5% 감소한 187.3조원으로 전망됐다.

 

또한 건설투자는 2022~2023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영향으로 2024년 주거용과 비주거용 건축공사의 부진이 예상되며 상반기를 전후해서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건설 경기 전망을 발표한 박철한 연구위원은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고, 금리 인하 시기가 불확실한데, 2023년뿐만 아니라 2024년에도 건설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라며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인프라 투자 및 건설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되며, 건설기업은 현금 유동성 확보,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 및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20234분기 보합세를 기록한 이후 2024년에는 2.0%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부동산시장 전망을 발표한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20233분기까지의 매매시장에 대해 연초 규제 완화를 통해 시장의 하방 압력을 다소 누그러뜨렸고 정책 금융과 장기 주택담보대출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며 3분기 상승세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공급자 금융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부 대응 덕택에 부실 위험은 상당히 내려갔지만, 어려움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이연된 상태라며 건설업계와 금융계의 자구 노력에 힘입어 금융시스템 전반의 어려움으로 확산되지는 않겠지만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주택 전세가격은 20234.8% 하락하는 반면 2024년에는 2.0%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해 하반기 이후 가격이 상향 안정세를 보였다고 올해를 평가하면서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하락하고 있고, 매매 수요 축소로 인한 수요 유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입주 물량이 소폭 감소할 예정이라며 내년 상승세를 전망했다. 한편 전세보증금 반환 이슈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부연구위원은 최근의 집값 상승세에 집중하기보다는 2022년 이후 집값 하락에 영향을 줬던 거시경제 환경이나 금융 규제 환경이 2023년과 2024년에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 전망하기 어려워 시장을 둘러싼 제반 여건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문수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