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주민 민원에 발목 잡힌 ‘철도 대동맥 안전’‘추가 옵션’ 요구에 표류하는 원효가도교 개량사업
국가철도공단이 수행하고 있는 ‘원효가도교 개량 사업’이 주민 민원으로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이 본 공사 착수 전 추가 시설 요구를 했고, 이에 따른 추가 비용 문제가 대두됐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철도 대동맥’ 핵심 구간의 안전 제고를 위한 사업이 이렇게 발목을 잡혀도 되나.
원효가도교는 1936년 무도상 강교(steel bridge)로 부설된 지 87년이 지난 노후 철교다. 2015년 12월 한국철도공사에서 시행한 정밀안전진단 결과는 B등급이었지만 2021년 12월 정기안전점검 시에는 C등급으로 하락했다. 그만큼 앞으로 열차 운행이 누적될수록 노후화로 인한 안전 등급은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철도공단은 서울~남영역 간 기존 강판형 무도상 교량을 콘크리트 유도상 교량으로 교체해 소음을 줄이고 열차 운행 안전도 높인다는 목적으로 ‘원효가도교 개량사업’을 추진했다. 2021년 5월 공사 시행 전인 실시설계 단계에서 용산구와 관계기관 협의를 거쳤고, 용산구 의견에 따라 올해 1월 서울시 교통소통대책심의, 3월에는 서울경찰청과 공사 중 교통처리계획 협의를 완료했다. 심의 및 협의 결과에 따라 원효가도교 하부도로 점용에 대해 용산구의 승인을 지난 4월 획득한 것이다. 사실상 공사 착수를 위한 사전 법적 절차와 관계기관 협의가 모두 끝났고, 첫삽만 뜨면 되는 상황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철도공단이 공사 착수 전인 지난 4월 개최한 주민설명회에서 주민들은 교통 혼잡 개선을 이유로 1개 차로와 통로박스 1개 증설을 요구했다고 한다. 마치 노후화된 차량이 보다 안전하게 달릴 수 있도록 서둘러 정비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선루프 등 안전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추가 옵션’을 요구한 형국이다. 더군다나 이 추가 공사에 127억원이 소요된다고 한다.
제아무리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개량사업이라고 하더라도, 시행기관은 타당성 검토 등 지난한 절차와 시간을 들인 후에야 가까스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덜컥 수백억 원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면 사업을 하지 말라는 것과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도로관리 주체인 용산구청은 철도공단과의 원효가도교 개량사업 협의 이전에 주민 민원 사항을 사전에 알았나, 몰랐나. 원효가도교를 가로지르는 남영역 인근 도로는 상습 정체구역으로 꼽히는데, 용산구는 그동안 어떤 노력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철도와 도로 등의 개량사업이 주민 민원으로 지연되는 경우를 숱하게 봐왔다. 물론 개량 과정에서의 주민 불편은 당연히 사업 시행 주체가 해소해야 하는 것이다. 철도공단은 원효가도교 개량 공사 중 도로점용에 따른 교통 혼잡 개선에 대한 비용은 부담한다는 방침이다. 대한민국 ‘철도 대동맥’ 핵심 구간의 안전 확보를 위한 사업이 속도를 내지는 못할망정 ‘추가 옵션’에 발목이 잡힌 상황은 정상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조영관 기자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