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기후동행카드, 오세훈 시장에게 득일까 독일까

대권주자 존재감 떨어지는 상황서 승부수 던졌나

윤경찬 기자 | 기사입력 2023/09/12 [14:30]

[데스크칼럼] 기후동행카드, 오세훈 시장에게 득일까 독일까

대권주자 존재감 떨어지는 상황서 승부수 던졌나

윤경찬 기자 | 입력 : 2023/09/12 [14:30]

▲ 윤경찬 편집국장    © 매일건설신문

 

서울시가 11일 “월 6만5000원 수준의 대중교통 정기권(기후동행카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서울 권역 내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서울교통공사의 속마음은 편치 않을 것 같다. 아무리 서울시와 사전 협의를 거쳤다고 하더라도 ‘천문학적 적자’가 뒤에서 눈을 부릅뜨고 있기 때문이다. 대권 주자로서의 오세훈 시장의 존재감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오 시장이 ‘승부수’를 던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기후동행카드’는 오 시장에게 득이 될까, 독이 될까.

 

오세훈 시장은 이날 ‘기후동행카드 도입’ 기자회견에서 직접 설명에 나섰다. 오세훈 시장표 ‘무제한 교통카드’에는 그 이름에서 엿볼 수 있듯 ‘기후위기’에 방점이 찍혔다.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도입’에 대해 “승용차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으로 전환하기 위해 혁신적인 교통정책이 필요했다”고 했다. 전세계 기후위기의 해결책은 ‘탄소저감’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고물가, 고금리로 힘들어하는 서민들의 가계 부담을 덜기 위해 기후동행카드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시내에서 승·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재원 마련 방안’은 ‘기후위기’에 밀린 모양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의 1인당 한 달 초과 혜택 비용을 3만원으로 추산하고 50만명의 시민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범사업 5개월 동안 750억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고 서울시가 50~60%, 운송기관이 40~50% 정도 부담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이다. 그러나 막대한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코레일과 서울교통공사는 ‘기후교통카드’에 대한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설 것이다. 

 

무엇보다 올해 대중교통 요금을 올린 상황에서 서울시의 ‘교통비 할인카드’ 정책은 자동차 운전수가 엑셀레이터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고 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교통요금을 인상한 마당에 다시 교통비를 깎아주겠다는 정책에 대해 ‘일관성’을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기후동행카드’는 오세훈 시장의 대권 승부수로도 읽히는 측면이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5~7일 사흘간 전국 유권자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차기 대권 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오세훈 시장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김동연 경기도지사,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 같은 2%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교통 포퓰리즘’을 섣불리 내놓은 건 아닌가. “재정보다 기후위기 대응에 더 초점을 뒀다”는 서울시의 말마따나 적자 기관에 예산 부담을 지울 수밖에 없는 ‘기후동행카드’는 불안정해 보인다. ‘기후동행카드’가 오세훈 시장의 향후 입지에 득이 될까, 독이 될까. 

 

 

/윤경찬 편집국장

  • 도배방지 이미지

  • ㅇㅇ 2023/09/12 [14:55] 수정 | 삭제
  • 이미 K패스 있는데 대권욕심이 급한듯.. 독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