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우크라이나 재건 1000조 시장, 만반의 준비해야

건설 경기 침체 속 반등 기회, 정부·기업이 원 팀 돼야

윤경찬 기자 | 기사입력 2023/05/23 [11:36]

[데스크 칼럼] 우크라이나 재건 1000조 시장, 만반의 준비해야

건설 경기 침체 속 반등 기회, 정부·기업이 원 팀 돼야

윤경찬 기자 | 입력 : 2023/05/23 [11:36]

▲ 윤경찬 편집국장   © 매일건설신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22~23일 폴란드를 방문해 우크라이나 재건부총리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한 회담을 진행한다. 원 장관은 앞서 17일에는 우크라이나 제1부총리와 면담을 갖고 전후 재건 협업에 대해 논의했다. 1년 3개월째로 접어든 우크라이나 전쟁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지만 전후 국토 재건이라는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비용이 1,000조원을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의 최근 행보는 바람직하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와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은 ‘한·우크라이나 미래협력 간담회’를 갖고, 전후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국내 건설기업들에게 ‘우크라이나 재건’이라는 훈풍이 불고 있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와 외교적 거리를 좁히고 있는 정부 기조 속에 국내 기업들도 보조를 맞추고 있는 모습이다. 주택을 비롯해 발전소, 도로 분야에서 재건 사업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현대건설은 지난달 미국 원전 기업인 ‘홀텍’과 우크라이나 에너지 인프라 재건을 위한 SMR(소형 모듈 원자로)를 건설하는 협력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폴란드 지사를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를 위한 방안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에너빌리티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진출과 관련해 현재는 초기적인 검토 단계로 독일 프랑크푸르트 지점을 통해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국내 건설 산업이 침체기를 맞은 가운데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이후 건설업 실질 폐업 기업 수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및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 외 통상 일정 수준을 유지하던 건설업 폐업이 실제 작년 4분기 이후 증가했다는 것이다. 

 

지난 3월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도 암울하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중소건설사 한계기업(3년 연속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을 감당치 못하는 기업) 비중은 2021년 12.3%에서 지난해 16.7%로 증가했다. 부실위험기업(1년 후 부도 상태로 전환될 확률이 5%초과 기업) 비중도 11.4%에서 12.8%로 늘었다. 건산연은 “최근 건축공사 관련 건설업종의 폐업 증가 원인은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와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부동산 경기 위축, 미분양 주택 누적 등 건설 경기가 하강 국면으로 전환된 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기준 건설업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15.4%를 차지할 정도로 대한민국을 떠받치고 있는 핵심 산업이다. 건설 산업이 위축되면 국가 경제 전반의 침체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국내 건설기업들의 해외 건설 수주는 외화 획득으로 이어져 국가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은 불과 70여 년 전 6·25 전쟁이라는 참화를 겪었고, 폐허가 된 국토를 불과 30여년 만에 복구한 경험이 있다.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국가로서 전쟁으로 폐허가 된 이웃 국가의 복구 과정에서 그 누구보다 정신적·물리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이 진행 중이지만 세계적으로 물밑에서 외교적 노력이 진행 중인 만큼 종전이라는 급격한 전환기를 맞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정부와 기업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준비를 위해 ‘원 팀’이 돼야하는 이유다. 무엇보다 우크라이나가 대한민국에 도움의 손길을 요청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 

 

 

/윤경찬 편집국장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