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건설사의 안전·보건관리자 10명 중 6명이 비정규직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안전보건법’은 건설현장애 안전·보건관리자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떠넘긴 안전·보건관리 체계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윤준병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2020년 30대 건설업체 안전·보건관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대 건설사의 안전·보건관리자 4,272명 중 정규직은 1,629명으로 38.1%에 불과했고 62%에 해당하는 2,643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진행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재 관련 청문회 증인 건설업체 3곳을 보면, 현대건설은 400명 중 128명이 정규직으로 32%에 그쳤고, GS건설은 36.8%(329명 중 121명), 포스코건설은 39%(326명 중 127명)에 불과했다.
30대 건설사 중 안전·보건관리자 정규직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삼호로 전체 70명 중 10명(14.3%)만이 정규직 노동자였다. 이어 HDC현대산업개발 21.1%(175명 중 37명), 신세계건설 21.4%(56명 중 12명), 한양 22.4%(49명 중 11명) 순이었다.
윤준병 의원은 “열악한 처우 및 근무 여건, 잦은 이직, 소속감 부족 등 불안정한 지위로 인한 구조적인 안전관리 부실 문제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경찬 기자 <저작권자 ⓒ 매일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