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 ‘지하시설물 정확도 개선’ 시범사업 착수

부산‧광주 등 2개 광역시 대상… 3개 구역 총 12km

조영관 기자 | 기사입력 2020/07/24 [13:20]

LX, ‘지하시설물 정확도 개선’ 시범사업 착수

부산‧광주 등 2개 광역시 대상… 3개 구역 총 12km

조영관 기자 | 입력 : 2020/07/24 [13:20]

 

2억여원 투입… 아이씨티웨이(주) 컨소시엄 수행

 

▲ 지하 터널에서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LX 직원들             © 매일건설신문

 

국가 차원에서 ‘지하시설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오는 11월까지 일정으로 부산과 광주 등 2개 광역시를 대상으로 ‘지하시설물 정확도 개선 시범사업’에 착수했다. 2억여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의 용역 사업단은 아이씨티웨이(주)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 황병철 사무관은 “정부 차원의 지하시설물 밀집도, 노후도, 굴착예정지, 위치정확도 오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세부 사업대상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지하정보사업의 정책 수립과 위탁업무의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있는 국토부 공간정보진흥과는 국내 지하시설물 통합지도 구축 ‘컨트롤타워’다.

 

이번 사업은 지하의 개발‧이용‧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지하시설물 통합체계(7대 지하시설물 정보 통합시스템)’와 ‘지하공간통합지도(15종 지하시설물의 3D 기반 통합‧연계 지도)’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 지하시설물 DB(데이터베이스)의 위치정확도 검증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목적으로 시행된다.

 

지하시설물 불탐(탐지 불가) 구간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시설물 탐사 장비인 MPL(전자유도)과 GPR(지표투과레이더) 등을 사용해 조사‧탐사하고 노출된 지하시설물을 직접측량을 진행한다.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얻은 지하시설물의 위치, 심도 값 등과 비교·검토해 지하시설물 위치정확도 검증 및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부산시와 광주시의 시가지 지역 지하시설물 총 12㎞가 대상이다.

 

지하시설물의 정확도를 개선시켜야한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최근 백석역 온수관 파열 사고(2018)와 서대문구 KT 통신구 화재(2018) 등 도심지 증가에 따른 지하개발 확대로 지반침하 및 지하시설물 사고발생이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결과와 실제 지하시설물의 위치·속성정보 불일치로 인한 낮은 정확도 문제가 지적됐다.

 

앞서 지난 2018년에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지하안전법)’이 시행됐고, LX는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업무 위탁기관으로 지정됐다.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국토부 위탁업무 중 지하정보 발전방안 수립 및 정확도 개선 방안을 수행하는 것이다. LX는 지난해 7월 전주시 지하시설물 위치정확도 개선을 위한 실증용역을 완료했다. 

 

LX는 이번 사업에서 시범사업대상지의 지하시설물의 조사 및 MPL(전자유도)과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통한 위치정확도를 확인하고, 맨홀‧지중선로표시기 등 지상 돌출 시설물과 굴착을 통해 노출된 관로를 대상으로 집적측량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측량 결과를 비교 분석해 지하시설물 위치정확도 개선방안을 도출할 방침이다. 

 

현재 지하공간통합지도는 기존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도 검증없이 제작돼 실제 지하시설물 위치정보와 불일치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최근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경우 실시간 측량을 통해 오류율이 낮지만 과거 매설된 지하시설물에는 위치오류가 많은 것이다. 기존 조사‧탐사 방법으로는 불탐(탐사 불가) 지역의 지하시설물의 위치확인의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LX와 사업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향후 건설, 안전, 방재,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민간분야 DB(데이터베이스) 활용을 고려해 지하정보 위치정확도 개선안을 도출한다는 목표다. 

 

국토부는 향후 측량‧탐사 기술과 관련한 R&D(연구개발)를 추진해 오류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지하매설물 특징에 적합한 측량‧탐사 장비와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하시설물 통합체계 DB와 현장측량을 통해 취득된 위치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각각의 시설물에 대한 선진형 안전관리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조영관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지하시설물, LX, 공간정보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