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패널’ 20년 수명 도래… 진천 ‘재활용센터’ 급부상

국비·지방비 190억 투입, 충북도·충북TP 사업 수행

조영관 기자 | 기사입력 2019/09/05 [15:23]

‘태양광 패널’ 20년 수명 도래… 진천 ‘재활용센터’ 급부상

국비·지방비 190억 투입, 충북도·충북TP 사업 수행

조영관 기자 | 입력 : 2019/09/05 [15:23]

 

구축장비로 유가금속 회수·중금속은 안전하게 폐기
2021년 개소… 연간 3,600톤 폐모듈 처리 전망

 

▲ 충북 진천 태양광재활용센터 전경                              © 매일건설신문

 

정부가 태양광 폐모듈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 ‘재생에너지 민·관 공동 협의회’를 개최하고 “태양광 폐모듈은 대부분 재사용·재활용이 가능해 전 주기 처리를 담당하는 ‘폐모듈 재활용 센터’를 구축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2017년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이후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18개월동안 보급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규모는 4,583MW(메가와트)로 확인됐다. 이는 같은 기간 보급 목표인 2,939MW의 약 1.56배 수준이다.

 

산업부는 “2017년까지 설치된 총 재생에너지 발전설비(15,106MW)의 약 1/3 수준이 지난 18개월 동안 보급된 것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과 재생에너지 3020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태양광 산업의 선순환 체계 구축 

 

태양광 발전은 2000년대 초반부터 전국적으로 설치가 확대돼왔다. 이에 태양광 패널의 사용기한(20∼25년)이 도래한 만큼 폐패널 처리과정에서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임야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시설이 산사태로 인해 붕괴되면서 폐태양광 매립으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태양광 폐패널을 재활용할 경우 유리·알루미늄·실리콘·구리 등을 유용한 자원으로 회수할 수 있지만, 현재 재활용 의무가 명확히 규정돼 있지 않아 관련 재활용산업도 활성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충청북도와 진천군이 수행하고 있는 ‘태양광재활용센터 구축 기반조성사업’은 ▲태양광재활용센터 설계·건축 ▲재활용 기술·장비·공정 구축 ▲폐모듈 처리거점 구축, 재활용 의무화 제도 마련 ▲재활용 연구센터 기반구축 종료 후 센터 발전방안 수립 등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북 진천에 구축되고 있는 ‘태양광재활용센터’는 태양광 모듈의 원천 소재인 은·구리·알루미늄 등의 유가 금속(값이 나가는 유색 금속)을 회수·정제하고 납 등의 유해 중금속을 안전하게 폐기하는 시설이다. 독일의 경우 태양광 폐모듈 발생량의 71%를 제3국 수출 등으로 재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센터의 건물은 완공된 상태로, 이번 사업에 참여한 각 민간업체들이 태양광 폐패널의 재활용을 위한 프레임해체장비, 모듈분해장비, 환경시설 등을 제작하고 있다. 심도브레이징(주)(용융용해시스템-모듈분해장비)과 씨디에스(주)(프레임해체장비) 등의 국내 중소기업들이 보유핵심기술을 이용해 폐패널 재활용 장비를 제작하고 있다.

 

충북도청 측은 사업과 관련해 “태양광재활용센터에서 회수된 실리콘, 은 등의 유가금속을 제조 산업에서 재이용하게 된다”면서 “제조-발전-재활용 등 태양광 전체 산업의 선순환 체계가 구축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 충북 진천 태양광재활용센터 전경                                           © 매일건설신문

 

국내 유일 태양광재활용 시설… 롤모델 작용 전망

 

국내 최초로 추진되고 있는 ‘태양광재활용센터 구축 기반조성사업’에는 국비와 지방비 총 사업비 190억원이 투입됐다.

 

충청북도와 진천군을 주관기관으로, 충북테크노파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녹색에너지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등 6개 수행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충북테크노파크는 수행기관들을 총괄하며 태양광재활용센터(태양광모듈연구센터)와 태양광 재활용장비 구축을 담당하고 있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광재활용 장비 국·내외 현황 분석, 재활용장비 설계 및 구축 지원을 맡았고, 법제연구원은 태양광재활용 의무화제도 관련 국내·외 현황분석, 법률안 마련 및 제안을 수행하고 있다. 친환경안전시스템 구축을 위한 법제도 분석과 장비구축 지원은 산업기술시험원이 진행한다. 녹색에너지연구원은 태양광폐모듈 발생량 예측 및 수거거점구축을 지원하고, 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태양광 재사용 및 재활용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태양광재활용센터는 현재 제작되고 있는 태양광 재활용 장비가 구축되고 각 장비와 공정에 대한 시운전을 거쳐 오는 2021년 6월 개소할 예정이다. 개소 후에는 연간 3,600톤의 태양광 폐모듈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정부와 태양광 업계가 2022년까지 태양광 폐패널 회수·보관 체계 구축과 재활용 기술개발 등의 기반을 마련한 후 2023년부터 태양광 패널에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를 도입하기로 합의한 만큼 향후 폐패널 재활용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는 포장재·제품 생산자(제조·수입업체)에게 포장재·제품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회수해 재활용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가 시행되면 태양광 패널 생산자는 수거·운송 등의 재활용 체계를 구축해 환경부가 부여하는 재활용 의무율에 해당하는 양의 폐패널을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해야 한다.


이에 이번 태양광재활용센터는 향후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시장 확대와 더불어 재활용센터 구축을 희망하는 타 지자체의 롤모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의 진정한 달성은 재생에너지의 양적 확대를 넘어 재생에너지 확대가 지역과 주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영관 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태양광재활용센터, 충북테크노파크, 산업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